'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137건

  1. 2024.01.16 Decimal calculation in Javascript 1
  2. 2022.03.02 babel 과 polyfill
  3. 2022.03.01 Closure, 클로저 함수
  4. 2022.03.01 let, var, const 차이점
  5. 2021.08.20 Git repository와 로컬 폴더 연결
  6. 2021.08.20 웹팩 dependencies 설정
  7. 2021.07.02 AWS s3 404 Not Found 에러
  8. 2021.06.02 삽질: axios , 삼항연산자, 두개이상의 경우의 수

Decimal calculation in Javascript

웹 개발/Problems 2024. 1. 16. 02:10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실수의 연산을 하다보면 소수점이 이상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이진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실수를 다루는 방식은 컴퓨팅 언어마다 다르다. Javascript는 모든 숫자를 IEEE 754 표준을 따르는 배정밀도 64 비트 부동 소수점 형식으로 표현하며, 이 형식은 실수를 근사치로 저장한다.

따라서 0.6 / 0.2 와 같은 연산을 실행 해보면 3이 아닌 2.999999999996 와 같은 예측에서 벗어난 값이 나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수를 정수로 바꾼 후에 연산을 하고 다시 원래 실수로 돌려놓는 방법을 사용한다.

function findMostDecimal(array: number[]): number {
    let maxDecimal = 0;
    let numberWithMostDecimals = array[0];

    for (let num of array) {
        let decimalCount = countDecimalPlaces(num);
        if (decimalCount > maxDecimal) {
            maxDecimal = decimalCount;
            numberWithMostDecimals = num;
        }
    }

    return numberWithMostDecimals;
}

먼저 실수들 중에서 가장 소수점 자리가 큰 실수를 알아낸다.

export function countDecimalPlaces_10(value: number): number {
    if (!isFinite(value)) return 0; //무한대나 NaN인 경우, 0을 반환
    let text = value.toString();
    let index = text.indexOf('.');
    if (index === -1) return 1; //소수점이 없는 경우, 1을 반환. (정수이므로)
    let decimalPart = text.substring(index + 1);
    return Math.pow(10, decimalPart.length);
}

실수를 정수로 바꾸기 위해 지수를 구한다.

 

export function operateDecimals(
    value1: number,
    value2: number,
    operation: Tadjuster_method,
) {
    const mostDecimal = findMostDecimal([value1, value2]);
    const factor = countDecimalPlaces_10(mostDecimal);
    const newValue1 = Math.floor(value1 * factor);
    const newValue2 = Math.floor(value2 * factor);
    let result;
    switch (operation) {
        case 'add':
            result = (newValue1 + newValue2) / factor;
            break;
        case 'subtract':
            result = (newValue1 - newValue2) / factor;
            break;
        case 'multiply':
            result = (newValue1 * newValue2) / (factor * factor);
            break;
        case 'divide':
            result = newValue1 / newValue2; // 나눗셈의 경우, factor로 나눌 필요 없음
            break;
        default:
            throw new Error('Invalid operation');
    }
    return result;
}

이렇게 정수로 바꾼다음 연산을 진행한 뒤 지수를 다시 나눠주면 원하는 값을 구할 수 있다.

:

babel 과 polyfill

웹 개발/Study 2022. 3. 2. 06:39

바벨(babel)이란?

바벨은 입력과 출력이 모두 자바스크립트 코드인 컴파일러다. 이는 보통의 컴파일러가 고수준의 언어를 저수준의 언어로 변환하는 것과 비교된다.

초기의 바벨은 ES6 코드를 ES5코드로 변환해주는 컴파일러였다. 현재는 바벨을 이용해서 리액트의 JSX문법, 타입스크립트와 같은 정적 타입 언어, 코드 압축, 제안(proposal)단계에 있는 문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필(polyfill)이란?

폴리필이란 브라우저가 지원하지 않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지원 가능하도록 변환한 코드를 뜻한다. 하위 브라우저가 지원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사용해 자바스크립트의 최신 기능을 똑같이 구현하는 방식이다.

바벨과 폴리필

자바스크립트의 최신 기능을 모두 사용하면서 오래된 브라우저를 지원하려면 바벨로 코드 문법을 변환하는 동시에 폴리필도 사용해야 한다. 폴리필은 런타임에 기능을 주입하는 것을 말한다. 런타임에 기능이 존재하는지 검사해서 기능이 없는 경우에만 주입한다. 바벨을 사용하면 최신 자바스크립트 표준에 추가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고 오해하기 쉽다. 바벨을 사용하더라도 폴리필에 대한 설정은 별도로 해야한다.

한가지 예로 ES8에 추가된 String.padStart 메서드는 폴리필을 이용해서 추가할 수 있다. 반면에 async await는 폴리필로 추가할 수 없으며, 컴파일 타임에 코드 변환을 해야한다.

core-js 모듈의 폴리필 사용하기

core-js는 바벨에서 폴리필을 위해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패키지다. 가장 간단한 사용법은 core-js모듈을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불러오는 것이다.

import 'core-js';
//core-js 모듈을 가져오면 해당 모듈의 모든 폴리필이 포함된다. 
//따라서 낮은 버전의 브라우저에서도 프로미스, Object.values, 배열의 includes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const p = Promise.resolve(10);
const obj = {
    a: 10,
    b: 20,
    c: 30,
}
const arr=  Object.values(obj);
const exist = arr.includes(20);
import 'core-js/features/promise';
import 'core-js/features/object/values';
import 'core-js/features/array/includes';
//core-js로 부터 직접 필요한 폴리필만 가져오면 번들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const p = Promise.resolve(10);
const obj = {
     a: 10,
     b: 20,
     c: 30,
};
const arr= Object.values(obj);
const exist = arr.includes(20);

@babel/preset-env 프리셋 이용하기

@babel/preset-env 프리셋은 실행환경에 대한 정보를 설정해 주면 자동으로 필요한 기능을 주입해준다. 예를 들어, babel, config.js 파일에 다음 내용을 입력하면 특정 버전의 브라우저를 위한 플러그인 만 포함된다.

const presets= [
   [
      '@babel/preset-env',
      {
         targets: '> 0.25%, not dead',
         //targets 속성으로 지원하는 브라우저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는 시장 점유율이 0.25% 이상이고 업데이트가 종료되지 않은 브라우저를 입력했다.
         //브라우저는 browserlist라는 패키지의 문법을 사용한다.
      },
   ]
];

module.exports= {presets};

'웹 개발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sure, 클로저 함수  (0) 2022.03.01
let, var, const 차이점  (0) 2022.03.01
웹팩 dependencies 설정  (0) 2021.08.20
React 기초 연습  (0) 2021.03.25
객체 지향 설계의 다섯가지 원칙  (0) 2021.03.21
:

Closure, 클로저 함수

웹 개발/Study 2022. 3. 1. 02:12

클로저는 자바스크립트의 고유한 개념이 아니라, 여러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자신이 선언될 당시의 환경을 기억하는 함수이다.

// 클로저를 만드는 형태 1. - 중첩함수
function outerFn() {
  let x = 10;
  return function innerFn(y) { // innerFn 함수는 클로저다.
    return x = x + y;
  }
}
let a = outerFn(); // 외부함수 호출은 한번만. 이제 a 변수는 innerFn 함수를 참조한다.
a(5); // 15;
a(5); // 20;
a(5); // 25;
// 클로저를 만드는 형태 2. - 전역에 선언한 변수를 박스 안에서 함수로 정의하고 전역에서 호출
let globalFunc;
{
  let x = 10;
  globalFunc = function(y) { // globalFunc 함수는 클로저다.
    return x = x + y;
  }
}
globalFunc(5); // 15;
globalFunc(5); // 20;
globalFunc(5); // 25;

1. 클로저는 내부함수가 외부함수의 맥락(context)에 접근 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2. 외부로 전달이 항상  return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3. 클로저는 특정 상황에서 발생하는 "현상"이고 함수는 이 현상이 나타나기 위한 "조건"에 해당한다.

장점

1. 데이터를 보전할 수 있다.

클로저 함수는 외부 함수의 실행이 끝나더라도 외부 함수 내 변수를 사용 할 수 있다.

클로저는 이처럼 특정 데이터를 스코프 안에 가두어둔 채로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폐쇄성을 갖는다.

2. 정보의 접근 제한 (캡슐화)

'클로저 모듈 패턴'을 사용해 객체에 담아 여러개의 함수를 리턴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정보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을 캡슐화라고 한다.

3. 모듈화에 유리하다.

클로저 함수를 각각의 변수에 할당하면 각자 독립적으로 값을 사용하고 보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수의 재사용성을 극대화, 함수 하나를 독립적인 부품의 형태로 분리하는 것을 모듈화라고 한다.

클로저를 통해 데이터와 메소드를 묶어다닐 수 있기에 클로저는 모듈화에 유리하다.

'웹 개발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bel 과 polyfill  (0) 2022.03.02
let, var, const 차이점  (0) 2022.03.01
웹팩 dependencies 설정  (0) 2021.08.20
React 기초 연습  (0) 2021.03.25
객체 지향 설계의 다섯가지 원칙  (0) 2021.03.21
:

let, var, const 차이점

웹 개발/Study 2022. 3. 1. 02:00

1. 변수 선언 방식

var는 한번 선언한 변수일지라도 중복해서 선언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var a = 1;
console.log(a)//1
var a = 2;
console.log(a)//2

위와 같이 한번 선언을 한 a 변수 일지라도 var태그를 사용하여 선언 하면 다시 선언을 할 수 있다. 이는 간단한 테스트에는 편리할 수 있으나 코드량이 많아진다면 어디에서 사용했었는지 파악하기가 어렵고 기존의 값이 바뀌어 버그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let과 const는 재선언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 둘에도 차이점이 있는데, 그것은 immutable여부이다.

let은 변수에 재할당이 가능하고, const는 불가능하다.

2. 호이스팅

호이스팅(Hoisting)이란, var 선언문이나 function 선언문 등을 해당 스코프의 선두로 옮긴 것처럼 동작하는 특성을 말한다.

자바스크립트는 ES6에서 도입된 let, const를 포함하여 모든 선언(var, let, const function function*, class)을 호이스팅한다.

하지만, var 로 선언된 변수와 달리 let로 선언된 변수를 선언문 이전에 참조하면 참조 에러(ReferenceError)가 발생한다.

console.log(foo);//undefined
var foo;

console.log(bar); //Error: Uncaught ReferenceError: bar is not defined
let bar;

이는 let 로 선언된 변수는 스코프의 시작에서 변수의 선언까지 일시적 사각지대(Temporal Dead Zone; TDZ)에 빠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변수는 선언 단계 > 초기화 단계 > 할당 단계에 걸쳐 생성되는데,

var 으로 선언된 변수는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한번에 이루어진다. 하지만 let으로 선언된 변수는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된다.

//스코프의 선두에서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실행된다.
//따라서 변수 선언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할 수 있다.

console.log(foo);

var foo;
console.log(foo);
foo = 1; //할당문에서 할당 단계가 실행된다.
console.log(foo); //1
//스코프의 선두에서 선언단계가 실행된다.
//아직 변수가 초기화(메모리 공간 확보와 undefined로 초기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변수 선언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할 수 없다.

console.log(foo); //ReferenceError: foo is not defined

let foo; //변수 선언문에서 초기화 단계가 실행된다
console.log(foo); //undefined

foo = 1; //할당문에서 할당 단계가 실행된다.
console.log(foo); //1

3. 정리

변수 선언에는 기본적으로 const를 사용하고,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 한정해 let을 사용하는것이 좋다.

그리고 객체를 재할당하는 경우는 생각보다 흔하지 않다. const를 사용하면 의도치 않은 재할당을 방지해 주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다.

 

'웹 개발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bel 과 polyfill  (0) 2022.03.02
Closure, 클로저 함수  (0) 2022.03.01
웹팩 dependencies 설정  (0) 2021.08.20
React 기초 연습  (0) 2021.03.25
객체 지향 설계의 다섯가지 원칙  (0) 2021.03.21
:

Git repository와 로컬 폴더 연결

Git 2021. 8. 20. 03:18

Git push가 안되는 경우 (fatal: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

로컬 저장소에 있는 프로젝트를 깃허브 사이트를 통해 만든 저장소로 push 하는 경우에 이런 메세지가 뜨는 경우가 있다.

 

1
2
3
4
5
6
7
8
C:\Users\gitProject>git push origin master
To https://github.com/userId/userProject.git
 ! [rejected]        master -> master (non-fast-forward)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https://github.com/userId/userProject.git'
hint: Updates were rejected because the tip of your current branch is behind
hint: its remote counterpart. Integrate the remote changes (e.g.
hint: 'git pull ...') before pushing again.
hint: See the 'Note about fast-forwards' in 'git push --help' for details.
cs

 

 

push 전에 먼저 pull을 해서 프로젝트를 병합해 주어야 한다. 

 

1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 cs

 

pull 명령 실행시 이런 문구와 함께 진행되지 않는다면, 다음의 명령으로 실행한다.

 

1 git pull origin 브런치명 --allow-unrelated-histories cs

 

--allow-unrelated-histories   이 명령 옵션은 이미 존재하는 두 프로젝트의 기록(history)을 저장하는 드문 상황에 사용된다고 한다. 즉, git에서는 서로 관련 기록이 없는 이질적인 두 프로젝트를 병합할 때 기본적으로 거부하는데, 이것을 허용해 주는 것이다.

:

웹팩 dependencies 설정

웹 개발/Study 2021. 8. 20. 03:15

npm i 를 통해 기본적으로 깔아야 하는 것들을 깔아준다.

@babel/core: 바벨의 기본적인 것들

@babel/preset-env: 브라우저 환경에 맞게 예전 문법을 지원

@babel/preset-react: jsx 지원

babel-loader: 바벨과 웹팩을 연결

'웹 개발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sure, 클로저 함수  (0) 2022.03.01
let, var, const 차이점  (0) 2022.03.01
React 기초 연습  (0) 2021.03.25
객체 지향 설계의 다섯가지 원칙  (0) 2021.03.21
var let const  (0) 2021.03.21
:

AWS s3 404 Not Found 에러

웹 개발/Problems 2021. 7. 2. 00:20

로컬 호스트에서는 잘 작동하지만 s3에 배포하고 나서 특정 페이지에 접근하자 404 Not Found에러 페이지가 렌딩 되었다. 하필 소셜 로그인 페이지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소셜로그인 하려먼 s3에서 다른 특별한 설정을 해야 하나 하고 고심 하고 있던 찰나, 한 유튜브 영상으로 s3 배포하는 과정을 시청하던중 

이 부분을 설정하는 것을 보았다. 왠지 이것 때문에 그럴 수 도 있겠다 싶어서 바로 기본값인 error.html에서 index.html로 바꾸자 에러가 해결되었다... 항상 주의 해야겠다.

:

삽질: axios , 삼항연산자, 두개이상의 경우의 수

웹 개발/Problems 2021. 6. 2. 20:19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img from 'react';
import { Container } from './UserInfoMatchingDetailStyled.jsx';
const axios = require('axios');
const MatchingDetail = ({ participant }) => {
	let [userData, setUserData] = useState(null);
	let [tier, setTier] = useState('');
	let [kda, setKda] = useState(0);
	let [rank, setRank] = useState('');
	let [isLoading, setIsLoading] = useState(null);
	console.log('participant before useEffect: ', participant);
	useEffect(() => {
		console.log('participant: ');
		console.log(participant);
		if (participant) {
			setIsLoading(true);
			console.log('participant name: ');
			console.log(participant.summonerName);
			axios
				.get(
					`${
						process.env.REACT_APP_SERVER_URL
					}/utils/history?name=${'미키주일'}`,
				)
				.then((response) => {
					let data = response.data;
					let tempKda = 0;
					console.log('data: ');
					console.log(data);
					setTier(
						data.league_solo === undefined ? 'UNRANKED' : data.league_solo.tier,
					);
					setRank(data.league_solo === undefined ? '' : data.league_solo.rank);
					if (data.matches) {
						data.matches.forEach((match) => {
							tempKda += match.kda;
						});
						tempKda = tempKda / data.matches.length;
						console.log('tempKda before Math.floor: ');
						console.log(tempKda);
						tempKda = Math.floor(tempKda * 100) / 100;
						console.log('tempKda after Math.floor: ', tempKda);
						setKda(tempKda);
					}
					setIsLoading(false);
					setUserData(data);
				})
				.catch((err) => {
					console.log(err);
					setIsLoading(false);
				});
		}
	}, [participant]);
	// useEffect(() => {
	// 	if (userData.league_solo) {
	// 		console.log(userData);
	// 		setTier(userData.league_solo.tier);
	// 	}
	// }, [userData]);
	switch (isLoading) {
		case null: {
			return '';
		}
		case true: {
			return (
				<Container>
					<fieldset>
						{participant !== null ? <div>{participant.summonerName}</div> : ''}
						{'Loading...'}
						<button
							onClick={() => {
								setIsLoading(null);
							}}
						>
							close
						</button>
					</fieldset>
				</Container>
			);
		}
		case false: {
			return (
				<Container>
					<fieldset>
						{participant !== null ? <div>{participant.summonerName}</div> : ''}
						<div>
							<img
								src={require(`../../Images/tierIcons/${tier}.png`).default}
								width={'100'}
								height={'100'}
							/>
							{tier}
							{'   '}
							{rank}
							<div>{kda !== 0 ? kda : ''}</div>
						</div>
						<button
							onClick={() => {
								setIsLoading(null);
							}}
						>
							close
						</button>
					</fieldset>
				</Container>
			);
		}
	}
};

export default MatchingDetail;

participant 변수가 들어오면 axios를 실행해 그 지연시간동안 loading...을 보여줘야했다.

로딩인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 isLoading 상태를 설정해주었지만 participant 변수가 들어오는 순간에는 isLoading이 기본값인 false로 인식되서 reference 에러가 났다. 생각을 해보니 이것은 세가지의 경우의수가 있는 문제라서 삼항연산자로 해결을 하기 매우 어렵다고 판단해 swtich문을 써서 리턴을 각각 다르게 했다.

경우 1. participant가 안들어 온 경우

경우 2. participant는 들어왔지만 아직 로딩이 안된 경우

경우 3. participant도 들어 오고 로딩이 끝나 데이터가 들어온 경우

따라서 삼항연산자로는 힘들다. 왜냐하면 경우 2번에서 participant가 들어오는 순간에는 로딩 변수의 기본값이 false인데, axios 실행전 setIsLoading(true)를 실행하지만 그것을 실행하기 전에 이미 false로 인식이 되어 로딩이 끝난줄 알고 데이터를 뿌릴려고 했다. 리액트에서 경우가 많아질 때 절대로 삼항 연산자는 피해야 겠다.

: